무릎 관절 환자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은가, 움직이면 관절에 무리가 가니까 운동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인가? 급성일 때는 당연히 활동량을 줄여야 하지만 보통 무릎 관절 질환을 앓게 되면 통증 때문에 활동이 감소해 관절 기능이 점점 나빠지기 쉽다. 그러므로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규칙적인 운동 스케줄을 마련해 관절 주위의 근육, 인대, 뼈 등을 단련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을 하면 연골과 뼈에 영양을 공급해주는 활액이 활막에서 원활하게 분비되는데 이것이 관절 질환의 진행을 더디게 한다. 또 뼈를 자극하면 뼈 형성이 활발해지는 압전 효과, 즉 자극을 계속 가하면 전기가 흘러 이것이 세포를 자극한다는 것이다. 적당한 운동은 뼈의 기능을 보완해주는 근력을 강화시키고, 각 기관의 신진대사를 도울 뿐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무릎관절에 좋은 운동

운동이 관절에 좋다고 해서 아무 운동이나 하면 안 된다. 거친 산을 오르는 등산이나 쪼그려 앉았다 일어서는 것은 무릎 관절이 아픈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도 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운동은 관절을 앞뒤, 위아래, 양옆 등 자연스러운 방향으로 움직여 각 관절의 운동 범위를 최대한 늘려주는 가벼운 스트레칭이다. 운동 범위를 넓히는 한편, 주변 근육을 강하게 만든다. 가벼운 걷기는 호흡 순환 기능을 돕고 몸무게 조절에도 도움이 된다. 수영, 걷기, 자전거 타기 등의 유산소 운동이 좋다.

 

수영
수영은 무릎에 하중을 주지 않고 무릎 주위에 근육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무릎관절 건강을 위한 최적화된 운동일 뿐만 아니라 무릎관절 노화 방지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걷기운동
평지에서 걷기는 관절의 유연성을 높이고 근력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무릎관절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딱딱한 아스팔트 길은 무릎에 오히려 많은 충격을 주기 때문에 부드러운 흙 길, 운동장 트랙, 잔디 등에서 걷는 것이 좋다.

 

무릎관절에 좋은 체조 ‘발목펴기 체조’

무릎관절에 좋은 운동 '발목펴기체조'는 무릎관절을 잡고 있는 허벅지의 대퇴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이다. 또한 무릎관절 주변의 혈액순환을 증가시키고 무릎관절을 강화시켜 무릎관절염을 예방해 준다.

>


무릎관절


Step 1. 오른다리를 앞으로 길게 뻗고, 발끝이 위를 향하도록 발목을 세워준다.
Step 2. 오른다리를 앞으로 길게 뻗고, 발끝이 대각선 위를 향하도록 발목을 세워준다.
Step 3. 왼다리로 Step 1, 2를 실시한다.
Step 4. Step 1부터 Step 3까지를 한 세트로 총 3회 실시한다.

 

+ Recent posts